단백질 치료제에 함유된 미립자의 구분 및 특성 분석

Differenti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bvisible particulates in
therapeutic protein products
비경구 투여 바이오 의약 제제와 관련하여 단백질 응집체 형성은 면역원성 증가 가능성의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규제 기관에서는 바이오 의약 제제 제조 업체들이 단백질 치료제의 전체 사용 수명에 걸쳐 그 내에 존재하는 미립자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그 수준을 줄일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면역원성은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유발될 수 있지만 비단백질 물질에 의한 오염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사기를 통해 투여될 때, 단백질 응집체와 오일 방울을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점 때문에 비경구 약물에 들어 있는 실리콘 오일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어왔습니다. 단백질 응집체와 더불어 비생물학적 오염원이 응집체 크기 증가의 핵점(nucleation point)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바이오 의약품 산업에 관한 미국 FDA 지침에는 “천연 재료로 만든 제품의 경우 다른 성분, 단백질, 비단백질 등의 물질에 대해서도 평가해야 한다.”(1)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응용 노트에서는 Archimedes가 어떻게 단백질 미립자가 형성되는 것을 검출하고는 정량화하는지에 관하여 설명하고 전단 응력에 의해 주입된 실리콘 오일을 예로 듭니다.  

Read More